728x90
파이썬에는 여러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자료형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셋의 구조와 차이점을 예제를 통해 비교해봅니다.
1. 주요 컬렉션 자료형 비교
자료형 | 기호 | 수정 가능 | 중복 허용 | 순서 보장 | 사용 예 |
---|---|---|---|---|---|
리스트 (list) | [] | O | O | O | 데이터 모음, 순차 처리 |
튜플 (tuple) | () | X | O | O | 고정된 데이터 그룹 |
딕셔너리 (dict) | {key: value} | O | 키 중복 X | O | 키-값 쌍 정보 저장 |
셋 (set) | {} | O | X | X | 중복 제거, 집합 연산 |
2. 각 자료형 사용 예제
# 리스트
fruits = ['사과', '바나나', '포도']
fruits.append('오렌지')
# 튜플
point = (10, 20)
# 딕셔너리
person = {'이름': '홍길동', '나이': 30}
person['직업'] = '개발자'
# 셋
unique_nums = {1, 2, 2, 3}
unique_nums.add(4)
3. 출력 결과
fruits => ['사과', '바나나', '포도', '오렌지']
point => (10, 20)
person => {'이름': '홍길동', '나이': 30, '직업': '개발자'}
unique_nums => {1, 2, 3, 4}
4. 실용 활용 팁
- 리스트: 가변 데이터 목록 저장, 반복 처리에 적합
- 튜플: 변경하지 않을 설정값이나 좌표 정보 등 고정 데이터
- 딕셔너리: 이름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검색할 때
- 셋: 중복 제거, 합집합/교집합 등 집합 연산 시 유용
5. 정리 및 다음 단계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셋은 각각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면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텍스트 파일 읽고 쓰기를 통해 외부 데이터 처리 방법을 배워봅니다.
반응형
'08.개발&프로그래밍 > 1.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예외 처리와 디버깅 기본 (0) | 2025.07.11 |
---|---|
8. 파일 입출력 (텍스트 파일 읽고 쓰기) (0) | 2025.07.11 |
6. 함수 정의와 호출 방법 (0) | 2025.07.11 |
5. 반복문 (for, while) 기초와 활용 (0) | 2025.07.11 |
4. 조건문 (if, else, elif) 사용법 (0) | 2025.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