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등 통신망을 통한 해킹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통신사의 보안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통신사의 보안계획 제출을 법적으로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며, 이는 통신망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국민의 통신 서비스 이용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통신망 보안 강화의 필요성 대두
현재 통신사들은 보안 관련 점검을 자율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나, 이는 사전 예방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습니다. 통신망은 단순한 통신 수단을 넘어 국가 안보와 국민 생활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간 산업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수준의 보안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 정부의 판단입니다 [1]. 특히 최근 발생한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는 자율 점검 시스템의 허점을 여실히 보여주며, 통신망 보안을 위한 보다 강력하고 의무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1, 3].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는 현행 '통신망 보호법'을 개정하여 통신사의 통신망 보안 의무를 명확히 하고, 보안계획 제출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통신사들이 보안 투자를 축소하지 못하도록 하고, 보다 체계적인 보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입니다 [1, 4].
보안계획 의무화의 주요 내용
통신사 보안계획 제출 의무화 추진은 단순히 계획서 제출에 그치지 않고, 보다 실질적인 보안 강화 조치를 포함합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통신사 특화 통신망 보안 의무를 법에 명시하는 것, 보안 심사 방식을 서면에서 현장 심사로 전환하는 것, 그리고 모의훈련을 의무화하는 것 등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1].
또한, 대규모 해킹 사고 발생 시 통신사의 책임을 명확히 하고 이용자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법안들도 함께 추진됩니다. 이는 중대한 해킹 사고 발생 시 정부와 통신사가 경보·예보·통지 등을 즉시 시행하도록 의무화하고, 조사에 비협조적인 사업자에 대한 과태료 상한을 상향하는 내용을 포함합니다 [3, 5]. 민관합동조사단 운영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사업자의 자료 제출 및 현장 조사 의무도 강화될 예정입니다 [3]. 특히, 개인정보보호법 개정안을 통해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발생 시 기존의 홈페이지 공지에서 벗어나 정보주체에게 개별 통지를 원칙적으로 의무화하여 통신사의 책임 회피를 원천 차단하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3, 5].
이와 더불어, 알뜰폰 사업자에게도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의무를 확대하고, 최고정보보호책임자(CISO) 지정 및 신고 의무를 부여하는 등 전반적인 통신 분야의 보안 수준을 높이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 4].
기대 효과 및 향후 과제
통신사의 보안계획 제출 의무화는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우선, 일회성, 단편적인 정보보호 대책에서 벗어나 조직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통신사의 정보보호 관리 수준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4]. 이를 통해 해킹, DDoS 등 침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4]. 또한, 경영진 차원에서의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가능해지고, 경영진이 직접 정보보호 의사결정에 참여함으로써 사이버 침해 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됩니다 [4]. 궁극적으로는 통신 서비스의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아져 국민들이 안심하고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입니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러한 의무화가 '규제를 위한 규제'로 작용하여 인력 투입 및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1]. 따라서 정부는 규제의 실효성을 확보하면서도 통신사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지속적인 법·제도 개선과 보안 기술 투자가 중요합니다.
마무리
통신사의 보안계획 제출 의무화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이자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이번 조치를 통해 통신망 보안이 한 단계 더 강화되고, 반복되는 해킹 사고로부터 국민의 소중한 정보를 보호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앞으로도 정부와 통신업계가 긴밀히 협력하여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구축하는 데 힘써야 할 것입니다.
참고 자료 (출처)
* [1] 기사/자료 제목: [단독] 정부 "통신사 보안계획 제출 의무화 추진"…SKT 해킹 재발 막는다
URL: https://www.asiae.co.kr/article/2025062407544632841
[단독] 정부 "통신사 보안계획 제출 의무화 추진"…SKT 해킹 재발 막는다 - 아시아경제
정부가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 이후 주요 통신사의 보안계획 제출을 법적으로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금까지는 SKT·KT·LG유플러스를...
www.asiae.co.kr
* [2] 기사/자료 제목: MVNO(알뜰폰) 사업자 대상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인증제도
URL: https://blog.naver.com/softwidesec/223620040856?viewType=pc
MVNO(알뜰폰) 사업자 대상정보보호 관리체계(ISMS)인증제도
최근 일부 알뜰폰(MVNO) 업체에서 비대면 가입 인증 과정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하면서, 정부...
blog.naver.com
* [3] 기사/자료 제목: 최민희 의원, '통신사 해킹방지 3법' 대표 발의 - 전자신문
URL: https://www.etnews.com/20250619000209
최민희 의원, '통신사 해킹방지 3법' 대표 발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인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SK텔레콤 해킹사태를 계기로 이용자 피해를 방지하고 정보통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통신사 해킹방지 3법'을 대표발의했다.
www.etnews.com
* [4] 기사/자료 제목: 3.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지정
URL: https://isms.kisa.or.kr/board/file/bbs_0000000000000001/41/FILE_000000000000074/2017032716011382674.pdf
* [5] 기사/자료 제목: 최민희 의원 "통신사 개인정보 유출때 개별통지 의무화" - Daum
URL: https://v.daum.net/v/20250619161509763?f=p
최민희 의원 "통신사 개인정보 유출때 개별통지 의무화"
(지디넷코리아=방은주 기자)더불어민주당 최민희 국회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경기 남양주갑)은 19일 SK텔레콤 해킹사태를 계기로 이용자의 피해를 최대한 방지하고 정보통신보
v.daum.net
* [4] 기사/자료 제목: 3.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의 지정
URL: https://isms.kisa.or.kr/board/file/bbs_0000000000000001/41/FILE_000000000000074/2017032716011382674.pdf
* [5] 기사/자료 제목: 최민희 의원 "통신사 개인정보 유출때 개별통지 의무화" - Daum
URL: https://v.daum.net/v/20250619161509763?f=p
'02.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HBM 특수로 활짝 웃은 마이크론, 역대급 실적 달성 (0) | 2025.06.26 |
---|---|
맥북 에어 M3 vs M4: 어떤 것을 사야 할까? (해외 리뷰 참고) (0) | 2025.06.26 |
AI 광고의 미래: 구글, 메타, 틱톡의 혁신과 파급 효과 (0) | 2025.06.26 |
AI, 일자리를 대체하는가: MS·아마존 감원 사례와 미래 전망 (0) | 2025.06.25 |
엔비디아 vs. AMD: GPU 성능과 AI 시장의 미래 경쟁 (0)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