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0.경제

1천만원, 10년 후, ISA vs. IRP ETF/펀드 투자 시물레이션

by JWJ Family 2025. 6. 25.
728x90

1천만원을 10년간 투자할 때 ISA와 IRP 계좌 중 어떤 것이 더 유리할지, 그리고 ETF와 펀드 중 어떤 상품이 더 나은 성과를 보일지 분석하기 위해서는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시뮬레이션이 필요합니다. 향후 10년 동안 동일한 수익률을 유지한다고 가정하고 세금 절감 효과를 함께 분석해보겠습니다.

본 분석은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가상 시뮬레이션이며, 미래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실제 투자 결과는 시장 상황 및 상품 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ETF 및 펀드 선정

본 분석에서는 가상의 "고수익 ETF" 및 "고수익 펀드"를 설정하고, 보수적으로 연평균 수익률을 가정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겠습니다. (실제 10년간 연평균 12%, 15% 이상을 꾸준히 기록하는 상품은 매우 드물다는 점을 감안해주세요.)

가상 상품 설정:

고수익 ETF (3종 평균):연평균 15% 수익률 가정

고수익 펀드 (3종 평균):연평균 12% 수익률 가정 (일반적으로 펀드는 ETF보다 수수료가 높고, ETF는 지수 추종으로 투명성과 낮은 수수료로 인해 장기적으로 더 나은 성과를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ISA 계좌 투자 분석 (1천만원, 10년, 연평균 15% 또는 12% 가정)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투자 상품의 손익을 합산하여 과세하는 '손익통산'과 비과세/저율 분리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4]. 일반형 ISA는 200만원, 서민형/농어민형은 400만원까지 비과세가 적용되며, 초과분에 대해서는 9.9%로 분리과세 됩니다 [4].

가정:

  • 초기 투자금: 1,000만원
  • 투자 기간: 10년
  • ISA는 일반형으로 가정 (비과세 한도 200만원)
  • 세율:비과세 200만원, 초과분 9.9% 분리과세

1. ISA 계좌 내 ETF 투자 (연평균 15% 수익률 가정)

  • 10년 후 원리금:10,000,000×(1+0.15)10≈40,455,577원
  • 총 수익금:40,455,577−10,000,000=30,455,577원
  • 비과세 구간:2,000,000원
  • 과세 대상 수익:30,455,577−2,000,000=28,455,577원
  • 납부할 세금:28,455,577×0.099≈2,817,102원
  • 세후 최종 금액:40,455,577−2,817,102=37,638,475원

2. ISA 계좌 내 펀드 투자 (연평균 12% 수익률 가정)

  • 10년 후 원리금:10,000,000×(1+0.12)10≈31,058,482원
  • 총 수익금:31,058,482−10,000,000=21,058,482원
  • 비과세 구간:2,000,000원
  • 과세 대상 수익:21,058,482−2,000,000=19,058,482원
  • 납부할 세금:19,058,482×0.099≈1,886,789원
  • 세후 최종 금액:31,058,482−1,886,789=29,171,693원

 

 

IRP 계좌 투자 분석 (1천만원, 10년, 연평균 15% 또는 12% 가정)

IRP(개인형퇴직연금)는 세액공제 혜택과 과세이연 혜택이 핵심입니다 [2, 4]. 납입액에 대한 세액공제는 연간 900만원 한도로 이루어지며, 연금 수령 시 낮은 연금소득세율(3.3~5.5%)이 적용됩니다 [2]. 다만, 위험자산 투자 한도 70% 제약이 있습니다 [1].

가정:

  • 초기 투자금: 1,000만원 (1년차에 전액 납입. 900만원 한도로 세액공제 적용)
  • 투자 기간: 10년
  • 세액공제율: 13.2% (연봉 5,500만원 초과 기준. 이하는 16.5%)
  • 세율:연금 수령 시 3.3% (55세 이후, 연금 수령 횟수 10년 이상 가정)

1. IRP 계좌 내 ETF 투자 (연평균 15% 수익률 가정)

  • 세액공제 혜택 (1년차):9,000,000×0.132=1,188,000원(이는 당장 돌려받는 세금)
  • 10년 후 원리금:10,000,000×(1+0.15)10≈40,455,577원
  • 세금 납부 시점:연금 수령 시 (과세이연 효과)
  • 납부할 세금:40,455,577×0.033≈1,335,034원(연금 소득세 3.3% 가정)
  • 세후 최종 금액 (10년 후 수령 시):40,455,577−1,335,034=39,120,543원
  • 최종 투자 효과 (세액공제 포함):39,120,543+1,188,000=40,308,543원

2. IRP 계좌 내 펀드 투자 (연평균 12% 수익률 가정)

  • 세액공제 혜택 (1년차):9,000,000×0.132=1,188,000원
  • 10년 후 원리금:10,000,000×(1+0.12)10≈31,058,482원
  • 세금 납부 시점:연금 수령 시 (과세이연 효과)
  • 납부할 세금:31,058,482×0.033≈1,024,930원(연금 소득세 3.3% 가정)
  • 세후 최종 금액 (10년 후 수령 시):31,058,482−1,024,930=30,033,552원
  • 최종 투자 효과 (세액공제 포함):30,033,552+1,188,000=31,221,552원

 

 

시뮬레이션 결과 요약 및 비교

계좌
종류
투자 상품
연평균 수익률
가정
10년 후 원리금 (세전)
납부할 세금
세후 최종 금액
ISA 일반형
ETF
15%
40,455,577원
2,817,102원
37,638,475원
펀드
12%
31,058,482원
1,886,789원
29,171,693원
IRP
ETF
15%
40,455,577원
1,335,034원
39,120,543원(세액공제 1,188,000원 별도)
펀드
12%
31,058,482원
1,024,930원
30,033,552원(세액공제 1,188,000원 별도)

절감되는 세금 비교 (일반 과세 대비):

  • ISA 계좌 ETF:만약 일반 과세 계좌였다면 3,045만원의 수익에 대해 15.4%의 세금(30,455,577×0.154≈4,690,158원)을 납부해야 했을 것입니다. ISA를 통해 **약 1,873,056원 (4,690,158−2,817,102원)**의 세금을 절감합니다.
  • ISA 계좌 펀드:일반 과세 시 2,105만원의 수익에 대해 15.4%의 세금(21,058,482×0.154≈3,242,906원)을 납부해야 했을 것입니다. ISA를 통해 **약 1,356,117원 (3,242,906−1,886,789원)**의 세금을 절감합니다.
  • IRP 계좌 ETF:일반 과세 시 3,045만원의 수익에 대해 15.4%의 세금(30,455,577×0.154≈4,690,158원)을 납부해야 했을 것입니다. IRP를 통해 **약 3,355,124원 (4,690,158−1,335,034원)**의 세금을 절감하며, 추가로 세액공제 1,188,000원을 받습니다.
  • IRP 계좌 펀드:일반 과세 시 2,105만원의 수익에 대해 15.4%의 세금(21,058,482×0.154≈3,242,906원)을 납부해야 했을 것입니다. IRP를 통해 **약 2,217,976원 (3,242,906−1,024,930원)**의 세금을 절감하며, 추가로 세액공제 1,188,000원을 받습니다.

 

 

결론 및 제언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1천만원을 10년간 투자했을 때, IRP 계좌에 ETF를 투자하는 것이 가장 높은 세후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이는 IRP의 세액공제 혜택과 연금 수령 시 낮은 연금소득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고수익을 가정할수록 세금 절감 효과가 더 두드러집니다.

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고려 사항이 있습니다.

  • IRP의 위험자산 투자 한도:IRP는 적립금의 70%까지만 위험자산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1]. 따라서 1천만원 전체를 고수익 주식형 ETF에 투자하기는 어렵습니다. 나머지 30%는 채권형 등 안정적인 자산에 배분해야 하므로, 실제 평균 수익률은 다소 낮아질 수 있습니다.
  • IRP의 중도 인출 제약:IRP는 노후 자금 마련을 위한 계좌이므로, 법에서 정한 사유 외에 중도 인출 시 세액공제 받은 금액과 운용 수익에 대해 기타소득세(16.5%)를 납부해야 합니다 [2, 4]. 따라서 10년 후 자금을 유연하게 사용하고 싶다면 ISA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 ISA의 장점:ISA는 국내 상장 주식 매매 차익에 대해 비과세이며, 손익통산 혜택이 있어 여러 상품에 투자 시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또한, 중도 인출이 비교적 자유로워 10년 후 자금 활용 계획이 유동적이라면 유리합니다 [4].

최적의 투자 전략:

  • 10년 후 노후 자금 마련이 주 목적이고, 중도 인출 가능성이 낮다면: IRP 계좌에 ETF를 위주로 투자하되, 위험자산 한도(70%)를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

초기 세액공제 혜택과 낮은 연금소득세율로 가장 큰 세금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10년 후 자금 활용 계획이 유동적이고, 공격적인 투자를 선호한다면: ISA 계좌에 ETF를 위주로 투자.

ISA는 손익통산 및 비과세/저율 분리과세 혜택으로 일반 계좌보다 세금 부담이 훨씬 적으며, 중도 인출이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 안정적인 투자를 선호하고, 전문가의 관리를 받고 싶다면: IRP 또는 ISA 계좌에 펀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ETF 대비 높은 수수료와 낮은 수익률 가능성을 감안해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두 계좌의 장점을 모두 활용하는 ISA와 IRP의 동시 운용 전략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RP에 연간 세액공제 한도만큼 납입하여 절세 혜택을 극대화하고, 추가 투자 자금은 ISA에 납입하여 비과세/분리과세 및 유연한 자금 활용을 도모하는 것입니다. 2025년 1월 1일부터는 ISA 만기 자금을 연금 계좌로 전환 시 최대 300만원까지 추가 세액공제 혜택이 주어져 연금 자산 증식에 더욱 유리해집니다 [4].

 

의견 정리

1천만원을 10년간 투자할 때, 과거 고수익 상품의 성과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 세금 절감 효과 측면에서는 IRP 계좌를 통한 ETF 투자가 가장 유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이는 세액공제 혜택과 연금 수령 시 낮은 세율 적용이라는 IRP의 고유한 장점 때문입니다. 그러나 IRP의 위험자산 투자 한도 및 중도 인출 제약이 존재하므로, 투자 목적과 자금 활용 계획에 따라 ISA 계좌와 적절히 조합하여 운용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될 것입니다.

 

참고 자료 (출처)

[1] 기사/자료 제목: 연금저축, IRP, ISA로 투자할 수 있는 ETF는?

URL: https://magazine.securities.miraeasset.com/contents.php?idx=156

 

연금저축, IRP, ISA로 투자할 수 있는 ETF는? - 미래에셋증권 매거진

해외 ETF에 투자할 수 있나요?...레버리지와 인버스 ETF에 투자할 수 있나요?...원자재 ETF에도 투자할 수 있나요?...

magazine.securities.miraeasset.com

 

[2] 기사/자료 제목: 연금저축 vs IRP, 내게 맞는 노후대비 연금 상품은?
URL: https://toss.im/tossfeed/article/economic-terms-16-rsp-irp

연금저축 vs IRP, 내게 맞는 노후대비 연금 상품은? - 금융이 알고 싶을 때, 토스피드

길게는 50년까지 운용하는 노후대비 연금, 잘 알고 선택하셔야 합니다.

toss.im

 

[4] 기사/자료 제목: ISA·연금저축·IRP '절세계좌 3종' 혜택 하나씩 비교해보자면?
URL: https://www.samsungfund.com/etf/insight/newsroom/view.do?seqn=62753

ISA·연금저축·IRP '절세계좌 3종’ 혜택 하나씩 비교해보자면? | ETF 투자정보 | Kodex

Kodex ETF 관련 보도자료 및 공식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www.samsungfund.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