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사우스는 경제적으로 발전이 덜 되거나 개발 여력이 제한된 국가들을 지칭하며, 냉전 시대의 '제3세계'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들은 과거 식민 지배를 경험하고 지리적으로 주로 남반구에 위치한다는 공통점을 가집니다.
글로벌 사우스, 단순히 지리적 용어가 아니다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는 단순히 지리적인 의미를 넘어,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특성을 공유하는 국가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3, 5]. 과거 '제3세계' 또는 **'개발도상국'**으로 불리던 국가들을 포괄하는 새로운 용어로, 대부분 과거 식민 지배를 경험했으며 이로 인해 경제적 불평등과 정치적 불안정을 겪어왔습니다 [3, 5].
글로벌 사우스에 속하는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경제 수준, 산업 다각화 부족, 높은 빈곤율 등의 특징을 보입니다 [3]. 하지만 동시에 풍부한 자원, 젊은 인구, 빠른 경제 성장 잠재력 등 다양한 강점을 가지고 있어 국제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3, 4]. 이들은 더 이상 선진국 중심의 국제 질서에 일방적으로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며 국제 사회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3, 5].
글로벌 사우스의 대표적인 국가로는 인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멕시코 등이 꼽히며, 이들은 BRICS, G77 등 다양한 국제 협력체를 통해 목소리를 대변합니다 [3]. 지리적으로는 멕시코, 중앙아메리카, 카리브해, 남아메리카 전체, 아프리카 전체, 대한민국, 일본, 이스라엘을 제외한 아시아, 호주와 뉴질랜드를 제외한 오세아니아 등이 포함됩니다 [2].
글로벌 사우스의 중요성이 커지는 이유
최근 글로벌 사우스의 중요성이 커지는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 세계 질서 재편의 주요 변수: 미-중 갈등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양측 진영에 속하지 않고 **자국의 실리를 추구하는 '스윙 국가'**로서의 역할을 합니다 [3]. 이들은 다극화되는 국제 질서에서 중요한 균형추 역할을 하며 독자적인 외교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5].
* 풍부한 자원과 인구: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핵심 광물 자원의 주요 생산국이자, 거대한 인구를 바탕으로 한 내수 시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4]. 특히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필수적인 리튬, 니켈 등의 광물이 이들 지역에 대량으로 매장되어 있어 글로벌 공급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큽니다 [4].
* 높은 경제 성장률과 시장 잠재력: 많은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은 높은 인구 증가율과 경제 성장률을 보이며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3, 4]. 이는 다국적 기업들에게 매력적인 투자처가 되며, 세계 경제 성장의 새로운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3].
* 기후 위기 및 글로벌 이슈 대응: 기후 변화, 팬데믹, 식량 안보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한 해결책 마련에 글로벌 사우스의 참여와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3, 4, 5]. 이들은 기후 위기의 주요 공여국이자 친환경 전환에 필요한 광물 보유국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한국과 글로벌 사우스의 관계
한국은 과거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성장한 경험을 가지고 있어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에게 특별한 의미의 파트너가 될 수 있습니다 [6]. 한국의 압축 성장 모델은 많은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에게 롤모델이 되고 있으며, 경제 개발 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높습니다 [6].
한국 정부는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는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경제 안보 강화는 물론, 글로벌 중추 국가로서 한국의 역할과 위상을 확대하는 데 중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6]. 특히 에너지·플랜트 인프라 협력, 핵심 광물자원 공급원 확보, 개발 협력 및 문화 교류 등을 통해 상호 호혜적인 관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6].
의견 정리
글로벌 사우스는 더 이상 단순한 '도움을 받는' 존재가 아니라, 국제 정치와 경제의 주요 행위자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부상은 기존의 서구 중심 국제 질서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자원, 인구, 경제 성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세계 경제의 새로운 지도를 그려나가고 있습니다. 한국은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상호 이익을 창출하고, 변화하는 국제 질서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참고 자료 (출처)
* [1] 기사/자료 제목: 글로벌 노스와 글로벌 사우스 - 위키백과
URL: https://ko.wikipedia.org/wiki/%EA%B8%80%EB%A1%B0%EB%B2%8C_%EB%85%B8%EC%8A%A4%EC%99%80_%EA%B8%80%EB%A1%B0%EB%B2%8C_%EC%82%AC%EC%9A%B0%EC%8A%A4
* [2] 기사/자료 제목: 글로벌 사우스 - 나무위키
URL: https://namu.wiki/w/%EA%B8%80%EB%A1%B0%EB%B2%8C%20%EC%82%AC%EC%9A%B0%EC%8A%A4
* [3] 기사/자료 제목: [ ✒️ 오늘의 경제 상식 용어]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URL: https://contents.premium.naver.com/jusikdante/jusikdante1/contents/250307112605963yy
[📚✒️ 오늘의 경제 상식 용어]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오늘은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이야기 한번 해볼게!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는 과거 '제3세계'나 '개발도상국'으로 불리던 국가들을 포괄하는 새로운 용어로,
contents.premium.naver.com
* [4] 기사/자료 제목: 인구·자원 양날개로 쾌속 성장...'글로벌 사우스' 날아오른다 - 조선일보
URL: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3/11/09/Y5LZZNNMQFDCJPWXNTGYWVSKE4/
인구·자원 양날개로 쾌속 성장...‘글로벌 사우스’ 날아오른다
인구·자원 양날개로 쾌속 성장...글로벌 사우스 날아오른다 WEEKLY BIZ 정치적 몸값도 높아져 반중친미 성향 보여
www.chosun.com
* [5] 기사/자료 제목: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과 새로운 국제 질서 - 브런치스토리
URL: https://brunch.co.kr/@@hKwn/23
글로벌 사우스의 부상과 새로운 국제 질서
이설아빠의 Global Business Story | 21세기 들어 국제 정치의 중심축이 변하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형성된 미국과 유럽 중심의 '글로벌 노스(Global North)'가 주도했던 국제 질서가 흔들리면서, 아
brunch.co.kr
* [6] 기사/자료 제목: 글로벌 사우스와 협력 위한 각축전… “한국, 압축 성장 경험이 경쟁력” - 월간 통상
URL: https://tongsangnews.kr/webzine/202407/2024070580140.html
글로벌 사우스와 협력 위한 각축전… “한국, 압축 성장 경험이 경쟁력”
글로벌 사우스와 협력 위한 각축전… “한국, 압축 성장 경험이 경쟁력”
tongsangnews.kr
'00.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집값 안정화의 열쇠, 새 정부의 공급 활성화 정책은? (0) | 2025.06.24 |
|---|---|
| 원화 코인 테마주의 위험한 유혹 (0) | 2025.06.24 |
| 새로운 디지털 시대의 화폐, 원화 스테이블코인! (0) | 2025.06.24 |
| 2025년 하반기 아파트값, 상승과 하락의 갈림길에 서다 (0) | 2025.06.24 |
| 금값, 거시 경제 불안 속 안전자산 매력 지속될까? (0)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