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0.경제

미래를 바꾸는 인구 변화: 미국과 중국, 10년 후의 시나리오

by JWJ Family 2025. 6. 26.
728x90

미국과 중국은 세계 경제의 양대 산맥으로, 이 두 국가의 인구 구조 변화는 전 세계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특히 고령화 추세는 소비 패턴과 자산 구조를 변화시키고, 이는 다시 국가 경제 전반에 복합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미국과 중국의 인구 통계를 살펴보고, 10년 후의 인구 예측 및 자산 보유 비율 분석을 통해 고령화가 소비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전망합니다.

2025년 미국과 중국의 인구 현황 및 10년 후 예측
2025년 기준 미국의 인구는 약 3억 4천3백만 명에서 3억 4천7백만 명 사이로 추정되며 [7], 중국의 인구는 약 14억 명에서 14억 9백만 명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1, 8]. 현재 중국이 미국보다 압도적으로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지만, 인구 변화 추세는 각기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향후 10년간 미국은 완만한 인구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민 정책, 출산율 변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겠지만, 급격한 인구 감소보다는 꾸준한 증가 또는 정체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중국은 인구 감소세가 뚜렷하며, 2035년에는 인구가 14억 명대 아래로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2, 3]. 특히 60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32%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어, 고령화가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2]. 이러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노동력 감소로 이어져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것입니다 [2, 3].

자산 보유 비율: 금융 vs. 부동산
가계 자산 구성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입니다. 미국 가계는 금융자산 비중이 높은 편으로, 전체 자산 중 약 71.5%가 금융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9]. 부동산을 포함한 비금융자산은 약 28.5%를 차지합니다 [9]. 특히 주식, 펀드, 채권 등 유동성이 높은 자산에 대한 투자가 활발한 경향을 보입니다.
반면 중국은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전체 자산의 약 76%가 부동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미국이나 일본, 한국에 비해 훨씬 높은 수치입니다 [4]. 이러한 높은 부동산 의존도는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4, 10].

고령화가 가져올 소비 트렌드 변화와 경제적 영향
두 국가 모두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소비 트렌드와 경제 전반에 다양한 변화가 예상됩니다.
미국의 경우,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의료, 건강 관리, 여가, 여행 등 고령층 특화 산업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입니다 [5]. 이들은 기존 고령층보다 학력이 높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해, 자신을 위한 소비에 적극적인 경향을 보입니다 [5]. 또한 디지털 기기에 대한 친숙도도 높아 시니어 인플루언서의 등장과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도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5]. 금융자산 비중이 높은 만큼, 은퇴 후에도 자산을 활용한 소비 여력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은퇴 후 기대수명이 길어지면서 노후 대비를 위한 저축 동기가 강화되어 소비성향이 하락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11].
중국은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노동력 부족 문제가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2, 3]. 이는 경제 성장 둔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소비 측면에서는 고령층의 소비가 증가하겠지만, 중국의 경우 부동산 자산 비중이 높아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소비 여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4, 11]. 또한 고령층의 소비가 의료 및 요양 등 특정 분야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 전반적인 내수 활성화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고령화로 인한 복지 수요 증가와 젊은 노동인구의 조세 부담 증가가 예상되며, 이는 국가 재정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6].

마무리
2035년 미국과 중국의 인구 구조는 현재와는 다른 모습일 것입니다. 미국은 완만한 고령화 속에서 고령층의 소비가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며 내수를 주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중국은 가파른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과 생산성 하락이 경제 성장에 큰 도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부동산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경제 불안정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출처)
* [1] 기사/자료 제목: 2025년의 세계경제 전망(06.29) 상세보기|국제경제동향 - 외교부
   URL: https://www.mofa.go.kr/www/brd/m_4049/view.do?seq=281422&srchFr=&srchTo=&srchWord=&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company_cd=&company_nm=

2025년의 세계경제 전망(06.29) 상세보기|국제경제동향  |  외교부

※ 6.24(금) NDR(독일북부지역 TV방송국) 주최 "미래 워크샾 - 20년 후의 세계"에서 독일 유력 상업은행인 도이체방크(DB)의 경제연구소 소장 Robert Walter 교수는 2025년의 세계경제에 대한 전망을 아래

www.mofa.go.kr


* [2] 기사/자료 제목: "중국 인구, 2035년 14억 명대 붕괴…60세 이상 32% 전망" | 중앙일보
   URL: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26705

"중국 인구, 2035년 14억 명대 붕괴…60세 이상 32% 전망" | 중앙일보

2035년까지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4억5000만 명 이상, 즉 전체의 32.7%를 차지할 것으로 추산된다. 실제 최근 국가통계국 발표에서 60세 이상 인구는 2억9697만명으로 전체의 21.1%를, 65세 이상 인구

www.joongang.co.kr


* [3] 기사/자료 제목: 영국 싱크탱크 "중국 인구, 2035년 14억명대 깨질 것" - 연합뉴스
   URL: https://www.yna.co.kr/view/AKR20240202112100009

영국 싱크탱크 "중국 인구, 2035년 14억명대 깨질 것"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중국 인구가 2035년이면 14억명대가 깨질 것이라는 전망이 4일 나왔다.

www.yna.co.kr


* [4] 기사/자료 제목: 위기의 부동산...왜 부동산이 중국경제의 뇌관이라고 말할까? - 이코노미21
   URL: http://www.economy21.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1997

위기의 부동산...왜 부동산이 중국경제의 뇌관이라고 말할까? - 이코노미21

[이코노미21 양영빈] 중국 부동산에 대한 이야기가 소셜미디어, 언론 등을 통해 마구 양산되고 있다. 헝다의 파산보호신청, 비구이위안(컨트리가든)의 달러 채권 이자 미지급, 중롱투자신탁의 투

www.economy21.co.kr


* [5] 기사/자료 제목: 우리나라 고령층의 특징과 소비구조 변화 - 산업연구원
   URL: https://www.kiet.re.kr/common/file/userDownload?atch_no=i%2FZcL8BjYHUAkfMSKCzORQ%3D%3D

* [6] 기사/자료 제목: 고령화와 경제적 부담 - 통계청
   URL: https://kostat.go.kr/boardDownload.es?bid=12303&list_no=369846&seq=1

* [7] 기사/자료 제목: 미국 - 인구 | 1900-2024 데이터 | 2025-2027 예상 - 경제 지표
   URL: https://ko.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population

미국 - 인구 | 1900-2024 데이터 | 2025-2027 예상

ko.tradingeconomics.com


* [8] 기사/자료 제목: 중국 인구 | 1950-2024 데이터 | 2025-2027 예상 - 경제 지표
   URL: https://ko.tradingeconomics.com/china/population

중국 인구 | 1950-2024 데이터 | 2025-2027 예상

ko.tradingeconomics.com


* [9] 기사/자료 제목: "가계자산 中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 비중 64%…美 29%" - SBS Biz
   URL: https://biz.sbs.co.kr/article/20000077710

"가계자산 中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 비중 64%…美 29%"

[금융투자협회 제공=연합뉴스]우리나라 가계자산에서 부동산과 같은 비금융자산이 3분의 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금융투자협회가 오늘(25일) 내놓은 '2022 주요국 가계금융자산 비교'

biz.sbs.co.kr


* [10] 기사/자료 제목: 중국 부동산 리스크 점검: - PwC
   URL: https://www.pwc.com/kr/ko/insights/insight-flash/samilpwc_insight-flash_china-real-estate-risk.pdf

* [11] 기사/자료 제목: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경제전망
   URL: https://www.kdi.re.kr/research/analysisView?art_no=3669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경제전망 - 현안분

■ 기대수명의 가파른 상승으로 지난 20년간 평균소비성향이 하락해 왔으며, 이는 민간소비 증가세가 경제성장률을 추세적으로 하회하는 주요인으로 작용 - 기대수명 증가에도 불구하고 생애주

www.kdi.re.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