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테이블코인이 달러 패권에 미치는 3대 충격파

미국이 적극 추진 중인 스테이블코인(1코인=1달러 연동)은 글로벌 금융시스템에 지각변동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2025년 현재 2,330억 달러 규모의 시장이 2028년 2조 달러로 성장할 전망 속에서[2], 이 기술이 미국의 금융패권과 시스템 안정성에 미칠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미국 입장에서 본 스테이블코인의 양날의 검

장점 분석

  • 달러 패권 강화: 글로벌 결제 시장에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사용 확대로 특히 석유대금 결제에서의 달러 비중 감소("페트로달러 약화")를 상쇄[2]
  • 미 국채 수요 창출: 발행사가 담보로 미 국채를 대량 확보해야 해 △중국 매입 감소 △연준 매입 축소 공백을 메우는 효과[2]
  • 결제 효율성 제고: 해외 송금 및 거래 시 기존 결제망 대비 수수료·시간 80% 이상 절감 가능[2]

단점 분석

  • 담보 부실 위험: 2022년 테라·루나 사태 재현 가능성으로 화폐 신뢰도 근본적 훼손 우려[3]
  • 규제 회피 문제: 민간 발행 구조의 취약성으로 자금 세탁·탈세 등 불법 행위 증대 가능성[1]

금융시스템 변화 전망

영역 단기적 변화 장기적 변화
달러 위상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 90% 점유로 디지털 경제 시대 기축통화 지위 강화[2] 비달러 연동 코인의 등장으로 패권 경쟁 심화 가능성
금융 시스템 결제 인프라 효율성 향상 및 달러 유통량 증가 민간 발행사 신용 리스크·담보 관리 미비로 인한 시스템 취약성 증대[1]
"스테이블코인 제도화는 200년 전 '자유 은행 시대'의 금융 불안을 재현할 수 있다. 담보 불충분 시 테라·루나급 사태가 반복될 수 있다."
— 조선일보 경제포커스[3]

핵심 대응 전략

미 상원의 지니어스법(Genius Act) 통과와 써클의 나스닥 상장(2025년 5월)은 핵심적 전환점입니다[2]. 그러나 성공적 정착을 위한 필수 과제는:

  1. 민간 발행사의 준비자산 투명성 강화 (뉴욕州 DFS 모델 확대)[1]
  2. 연방 차원의 디지털자산 감독 체계 구축[3]
  3. 국제공조를 통한 범세계적 표준 수립[2]

결론: 패권 유지 vs 시스템 리스크

스테이블코인은 미국에게 △달러 패권 강화 △금융기술 선점이라는 전략적 이점을 제공하나, 체계적 규제 프레임워크 없이는 역사적 금융위기(1837-1863년 자유은행시대)를 재현할 수 있는 양면성을 지닙니다. 2025년 하반기 미국 금융정책의 최대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출처 목록

[1] [#스테이블 코인] 4. 미국과 유럽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동향 - 키움증권 (2025-04-16), 원문 보기

[2] [하현옥의 세계경제전망] 미국의 '달러 패권' 강화 시도에 탄력 받는 스테이블코인 - koreadaily (2025-06-30), 원문 보기

[3] [경제포커스] 스테이블 코인이 소환한 '자유 은행' 악몽 - 조선일보 (2025-07-02), 원문 보기

728x90

+ Recent posts